김선희 (Kim, Sun Hee, 金仙熙) 사진
김선희 (Kim, Sun Hee, 金仙熙)
직위
선임연구원
연락처
02-450-4029
이메일
indiasunny@empal.com
세부전공
일본사상사·한일비교문화
연구실
경영관 541호
학력 및 학위

[학력]
2003. 히로시마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연구과 일본언어문화교육학 전공, 학술박사
1999. 히로시마대학교 대학원 국제협력연구과 교육문화 전공, 학술석사
1996.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문학사
[경력]
2019. 10.1-현재. 도쿄외국어대학 일본연구센터 특임연구원
2019.9.1-현재 서강대학교 전인교육원 외 강사
2018. 10.27-2019.1.22. 일본 시마네현립대학 북동아시아연구센터 초청 펠로
2014.3.2~2015.8.31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시간강사
2013.6.20~2013.8.20 일한문화교류기금 펠로십
2009.2.1~2012.8.31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HK연구교수
2007.7.1~ 현재 일본 시마네현립대학 NEAR Center 객원연구원
2005.5.1~2009.1.3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문화교류센터 연구원
2004.9.1~2013.2.28 한양대학교 국제문화대학 시간강사
2003.9.1~2007.8.31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시간강사
2000.4.1~2002.3.31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

논문/저서

[논문]
2021.「인삼에서 ''Ginseng'으로-Made in Choseon의 해피드러그」, 『일본사상』(39), 한국일본사상사학회, pp.63-94
2020.「일본 오키군 아마초의 지역활성화 사례 고찰」, 『일본사상』(40), 한국일본사상사학회, pp.133-158
2018.「가고시마현과 메이지 150년: 사이고 다카모리에 대한 기억을 중심으로」, 『일본역사연구』(48), 일본사학회, pp.29-72
2018.「도심재생에 있어서 ‘근대문화유산’ 활용에 관한 고찰 - 인천과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 『일본학보』(116), 한국일본학회, pp.209-232
2016,「明洞の場所性考察――文化遺産復元と関連して―」『東アジアの思想と文化』第8号, 東アジア思想文化研究会, pp.75-94
2014,「‘중심’ 공간으로서의 한일 경계지역 연구-전근대 표류민을 중심으로-」『도시연구』제12호, 도시사학회, pp.95-118
2013, 「근대 도시 문화의 재생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창출-군산을 중심으로」『동북아문화연구』 제36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pp.5-19
2012,「근대 왕인 전승의 변용 양상에 대한 고찰」『일본문화연구』제41집, 동아시아일본학회, pp.39-59
2011, 「전근대 왕인전승의 형성과 수용」『일본문화연구』 제39집, 동아시아일본학, pp.41-69
2010,「韓國における「歷史敍述」の問題-林泰輔『朝鮮史』の受容を中心に」『東アジア文化交涉硏究』 第3号, 関西大学, pp.131-142
2010,「『排耶蘇』에 나타난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유학사상에 대한 일고찰」『일본문화연구』 제33집, 동아시아일본학회, pp.43-59
2009,「포로 억류기를 통해 본 조선지식인의 ‘일본’을 향한 시선」『사림』 제34호, 수선사학회, pp.213-236
2009,「일본 주자학 연구에 대한 일고찰-강항 연구를 중심으로-」『일본문화연구』제 30집, 동아시아일본학회, pp.347-364
2009,「朝鮮知識人のみた‘中國’ ― 燕行使 『燕行錄』を題材に」『동북아문화연구』제18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pp.229-244
2007,「Korean Society Shown in Foreign Social Studies Textbooks」『The Review of Korean Studies』vol.10-4, 한국학중앙연구, pp.229-252(공저)
2007,「외국의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관련 내용의 서술 경향: 오류사례를 중심으로」『한국교과서연구학회지』창간호, pp.129-140
2007,「朝鮮知識人と‘日本’―朝鮮通信使『使行錄』を題材に-」『일본어문학』 제37집, 한국일본어문학회, pp.493-512
2005, 「일본유자(儒者)의 자국의식과 "조선"」『한국실학연구』제9집, 한국실학학회, pp.333-365
[저/역서]
2021,『일본 근세 유학과 지식의 활용』보고사(공저, 단국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편)
2021,『동북아시아의 근대체험과 문화공간』경인문화사(공저,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편)
2019,『메이지유신의 침략성과 재인식의 문제』동북아역사재단(이원우 편저)
2019,『명동 길거리 문화사』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야마모토 조호. 김선희. 양인실. 노상호.이현경.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야마노토 아야노. 이매 지음)
2018,『1929년, 조선을 박람하다. 1. 조선박람회 기념사진첩』소명출판(공역,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옮김)
2017,『왕인박사 현창사업의 현황과 과제』(사)왕인박사현창협회(공저, 왕인문화연구소 편)
2017,『일본정치사상사-17~19세기』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역서)
2014, 『왕인박사에 대한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한출판(공저)
2014,『現代アジアの女性たち-グロ-バル化社会を生きる』 新水社(공저)
2014,『韓流・日流-東アジア文化交流の時代』 免誠出版(공저)
2013,『동일본대지진과 환경오염』 고려대학교 출판부(역서)
2012,『핵확산문제와 아시아-핵 억지론을 넘어서』 도서출판 문(역서)
2011,『일본 ‘국체’ 내셔널리즘의 원형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국학』동북아역사재단(공역)
2011.『국학과 일본주의 일본보수주의의 원류』 동북아역사재단(공저)
2010,『함께하는 다문화교육』 도서출판 문(공역)
2010,『다무라 세이자브로의 "시마네현 다케시마의 신연구"』 해양수산개발원(역서)
2010,『에도 유교와 근대의 지』도서출판 선인
2008,『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총서 11 사상 의식 경제 무역 민속』 학고방(공저)
2007,『Korea: More Accurate Facts and Information』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문화교류센터(공저)